1. 제도 용구
템플릿 : 수목 표시, 원형 템플릿 많이 사용
연필 :샤프와 홀더 사용, H가 많을수록 단단하고 흐림 B가 많을수록 무르고 진함
제도용지 : 투사용지, 트레이싱 페이퍼(기름종이)
2. 기초 제도 순서
축척 및 도면 크기의 결정 : 주택정원의 경우, 보통 1/100 축척 사용
<제도용 도면의 준비>
윤곽선 : 가장자리에 10mm정도의 여백 (왼쪽 철할 대는 25mm)
표제란 위치 : 도면 하단부에 좌우로 길게, 오른쪽 끝에 상하로 길게 위치
포제란 기입 : 공사명, 도면명, 축척, 도면번호, 설계일시, 설계자명
치수표시 : mm원칙
설계도 종류
평면도 : 물체를 위에서 바라 본 것을 가정하고 작도한 것, 조경 설계의 기본적인 도면
식재 평면도 : 조경설계시 가장 많이 사용
수목의 규격 표시 - 수고(H/m), 수관나비(W/m), 흉고지름(B/Cm), 근원지름(R/Cm)
3. 조경계획 과정
목표설정 → 자료분석 → 기본계획(master plan) → 기본설계 → 실시설계 → 시공 및 감리 → 유지관리
미기후 : 지형이나 풍향 등에 따른 부분적 장소의 독특한 기상 상태
미기후의 특징 : 미기후는 자료를 얻기 어렵다, 지하수하고는 무관하다
4. 경관 요소
(1) 점, 선, 면적인 요소
점 : 외딴 집, 정자나무, 정자
선 : 하천, 도로 가로수 (서로 이질적인 요소가 만나서 생기는 경계 - 해안선, 수평선, 지평선)
면 : 호수, 경작지, 초지, 전답, 운동장
(2) 수평, 수직적인 요소
수평 : 저수지, 호수, Pull, 연못 등
수직 : 전신주, 굴뚝, 남산타워 등
(3) 닫힌공간, 열린공간
닫힌공간: 위요공간 (중간이 낮은 공간)
열린공간 : 개방공간
(4) 랜드마크 (landmark) : 지형공간 (식별성이 높은 지형 지물 등의 지표물 - 산, 탑, 빌딩 등)
통경선 : 프랑스의 비지타(visita), 좌우로의 시선 제한, 전방의일정 지점으로 시선집중
평면도 : 입체각이 없다
단면도 : 입체각이 있다
시방서(사양서) : 설계, 제조, 시공 등 도면으로 나타낼 수 없는 사항을 문서로 적어서 규정
특기시방서(특별시방서) : 표준 시방서에 명기되지 않은 사항 보충 (단, 표준시방서 우선)
※ 특별시방서와 표준시방서가 상이하면 특별시방서가 우선한다.
5.설계요소
(1) 구조물기준
1)범위 : 화단, 연못, 벽천, 분수, 옹벽, 옥외계단, 경사로, 플랜터 등
2)설계 원칙 : 안전, 수경, 상징성, 주변환경과 조화
3)설계요소
옥외계단 : 2h + w = 60~65cm 적당 (h=발판높이, w=나비)
물매 : 30~35도 (경사, 기울기)
경사로 : 램프(lamp)
물매 5%, 그 이상일 경우 난간 병행 설치
플랜터 :
대형화분 - 교목 75~90cm,
관목 45~60cm의 나비와 높이
옹벽 : 하중에 대한 구조적 안전
연못: 바닥을 점토, 콘크리트 등으로 방수
분수 : 수심은 보통 35~60cm
벽천 (인공폭포) : 실내나 옥외 벽에 물이 흘러내리게 만든 천
<벽천의 3요소>
①토수구(청동) : 구리 + 주석(관),
황동 : 구리+아연
②벽면(FRP) :유리섬유, 강화섬유
③수반(물받이) : 콘크리트 등의 받침 (길이는 0.5cm 이상 유지)
(2) 시설물 기준
안내표지, 휴식시설, 편의시설, 조명시설, 경계시설, 관리시설, 놀이시설, 운동시설, 도로, 주차시설 등
안내 표지 시설 : 통일성/재료, 형태, 색(흰색이 가장 좋다) 등
휴식시설 :
평의자, 등의자, 퍼걸러(파고라)- 조망이 좋고 한적한 휴게 공간, 높이 2.2~2.7m 정도
경계시설 :
볼라드(Bollard) - 인도에 보행자 보호( 주차하지 못하도록 ) 설치 , 높이 30~70cm, 간격 2 m 정도
놀이시설 : 그네, 시이소, 회전무대, 정글짐, 복합놀이대
운동시설: 철봉, 평행복, 허리돌리기, 윗몸일으키기
주차시설 : 90도, 60도, 45도 (동일 면적에서 가장 많이 주차), 30도의 형태
6. 토지이용계획도 색상
주거지: 노란색
공원,녹지: 녹색
공업용지 : 보라색
개발제한구역 : 연녹색
상업지 : 빨간색
학교 : 파란색
농경지 : 갈색
'조경기능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조경기능사 필기 이론 | 식재 기준, 기능별 수목, 종류 (3) | 2024.08.29 |
---|---|
조경관리사 필기 이론 | 조경 설계, 조경 재료 (6) | 2024.08.28 |
조경기능사 필기 기본이론, 현대 조경의 경향 (1) | 2024.08.22 |
조경기능사 필기 기본이론, 각국의 조경양식 분류 (0) | 2024.08.21 |
조경기능사 필기 기본이론, 조경시공의 기초 (0) | 2024.08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