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조경기능사

조경기능사 필기 기본이론, 각국의 조경양식 분류

by 티씽킹 2024. 8. 21.
반응형

1. 정형식 정원

서아시아, 유럽/ 형식을 포함한 기하학식 정원

 

평면기하학식

평야지대(프랑스 정원/평면상의 대칭적 구성)

도단식

경사지(이탈리아 정원 /경사지에 게단식 처리 /바빌로니아 고중정원 등)

중정식

건물로 둘러싸인 내부 (스페인 정원, 중세 수도원 정원 /소규모 분수나 연못 중심)

 

 

 

2. 자연식 정원

동아시아, 유럽의 18세기 영숙 / 정원구성에서 자연적 형태 이용

 

전원풍경식

영국,독일/넓은 잔디밭을 이용한 전원적이며 목가적인 자연풍경

회유임천식

중국 / 자연과 대담한 대비 / 숲과 깊은 굴곡의 수변 이용

일본 / 자연풍경의 섬세한 조화 /곳곳에 다리설치로 정원 회유

고산수식

일본(불교영향 - 용안사)

물을 전혀 이용하지 않음 / 나무 바위(중심) 왕모래 사용

 

 

 

3. 절충식 정원

정형식 정원과 자연식 정원의 형태적 특성을 동시에 지님

조선시대 : 기본 성격은 회유임천식 (자연식) + 정형적 형태를 포용

 

 

 

4.정원양식의 발생요인

 

1)자연환경요인

기후, 지형, 식물, 토지, 암석 등 (가장 중요한 요소 - 지형)

 

-산악지역 : 이탈리아 경사지를 이용한 노단식 정원조성

-평탄지역 : 프랑스, 평면기하학식 정원 발달

 

2)사회환경요인

종교, 민족성, 역사성, 기타(정치, 경제, 건축, 에술 등)

 

<종교>

동양 

-신선사상의 영향

불로장생하는 신선의 거처를 현실화 시키고자 함 (백제의 궁남지, 신라의 안압지)

-불교사상의 영향

일본의 고산소식 정원

 

서양

종교의식을 위해 손을 씻거나 목욕을 하기 위한 형태의 정원발달

 

<역사성>

르네상스시대 : 개방적 형태의 정원

 

 

 

5. 동양의 조경양식 (삼국시대)

 

1)고구려

대표적정원 : 안학궁, 장안성

정원을 관장하던 부서 : 내원서 (고려시대), 장원서(이조시대)

대성산성 (장수왕)

 

2) 백제

대표적 정원 : 궁남지 (무왕35년)

※노자공 (6세기 중엽) : 백제인으로 일본으로 건너가 수미산과 오교(홍교)로 이루어진 정원 만듦

 

3)신라 및 통일신라

대표적정원 : 안압지 (문무왕 14년 2월)

직선처리와 복잡 다양한 곡선처리, 3개의 섬, 거북 형태, 못의 관, 배수시설

 

4) 고려시대

대표정원: 동지(백제의 궁남지, 신라의 안압지와 유사한 기능), 문수원 <경종>

경복궁 : 기하학적 형태의 정원, 연못(섬이 있는 방지형태), 아미산, 경화루, 향원지

창덕궁 : 동궐, 후원을 금원, 비원이라 부른다. 경복궁과 달리 후원의 자연지형 이용, 부용정 부용지

별서정원 : 사대부가 본가와 떨어져 초야에 지은집

양산보의 소쇄원

정영방의 서석지

윤선도의 보용동원림

정약용의 다산초당

김조순의 옥호정

우규동의 소한정

 

5) 한국정원의 특징

사상 : 신선사상 ( 백제의 궁남지, 신라의 안압지)

지형 : 직선적인 윤곽의 처리, 정원의 연못 형태와 구성이 단조로움 / 직선적인 방지

주정원 : 후원(뒤뜻), 낙엽활엽수를 많이 사용

십장생: 소나무, 거북, 학, 사슴, 불로초, 해, 산, 물, 바위, 구름 (십장거사소학불)

 

6) 중국정원의 특징

경과의 조화보다는 대비를 중시 ( 자연미와 인공미) - 상림원(한시대)

 

 

7) 일본정원의 특징

돌과 모래의 정원 : 임천식(다정식), 회유임천식(회유식)

축산고산수식 : 바위(폭포), 왕모래(냇물), 다듬은 수목(산봉우리) 등으로 추상적인 정원을 꾸밈 (축겸식)

평정고산수식 : 용인사 (불교영향 - 물과 수목을 완전히 배제, 바위가 포인트)

 

 

 

6. 서양의 조경양식

 

1) 이집트

주택정원( 식물 - 시커모어, 파피루스, 연꽃), 신전정원, 묘지정원

 

2) 서아시아

공중정원 : 최초의 옥상정원( 동양에서는 중국의 상림원이 최초)

 

3) 그리스

정원 중심이 아닌 건물중심

아고라(국민성) : 건물로 둘러 쌓여 상업 및 집회에 이용되는 옥외공간, 광장을 말하며, 로마시대에는 포룸(Forum)

 

4) 로마

포룸(Forum) : 아고라에 비해 시장기능은 빠지고, 업무 중심지역으로 왕의 행진, 집단이 모여 토론 할 수 있는 광장의 성격

 

5) 스페인

물과 분수의 풍부한 이용, 색채타일

유적 : 알함브라 궁정의 정원, 헤네랄리페 , 이궁(전체가 정원), 파티오(타일 색채)

 

6) 이탈리아

노단건축식 정원

 

7) 프랑스

평면기하학식 정원

앙드레 르노트르 : 프랑스 조경의 아버지 , 비스타 정원(주축선이 두드러지게 하는 수법)

 

8) 영국

정형식 정원 : 11~17세기

자연풍경식 정원(전원풍경식 정원) : 18세기 낭만주의, 스토(Stowe)정원, 

 

9)독일

풍경식 정원, 과학적 지식을 이용

분구원 : 주말농장

 

 

 

 

반응형